광한루 그곳에서 휴식을 찾다~~
자연에서의 휴식을 찾은 광한루~~
보물 제281호. 조선시대의 재상 황희(黃喜)가 남원에 유배가서 1418년 현재보다 규모가 작은 누를 지어 광통루(廣通樓)라 했는데,
1434년 남원부사 민여공(閔汝恭)이 증축했고, 1444년(세종 26) 전라관찰사 정인지(鄭麟趾)에 의해서 광한루라 불리게 되었다.
광한루란 말은 달 속의 선녀가 사는 월궁의 이름인 광한전(廣寒殿)의 '광한청허루'(廣寒淸虛樓)에서 따온 것이다.
1461년 신임부사인 장의국(張義國)이 요천강(蓼川江) 물을 끌어다 연못을 조성하고 4개의 홍예로 구성된 오작교를
화강암과 강돌로 축조하여 월궁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584년 송강 정철에 의해 수리될 때 봉래(蓬萊)·방장(方丈)·영주(瀛州)의 삼신산(三神山)을 연못 속에 축조하므로
광한루, 오작교와 더불어 월궁과 같은 선경을 상징하게 되었다.
그뒤 정유재란으로 전소된 것을 1638년(인조 16)에 중건하여 지금에 이르렀고, 춘향전에 의해 많이 알려졌다.
인공정원 속에 건립된 대표적인 누인 광한루는 앞면 5칸, 옆면 4칸 팔작지붕의 이익공계(二翼工系) 다락집이다.
지금은 동쪽에 3칸의 부속건물이 붙어 있고, 북쪽에 팔작지붕을 중첩한 3칸의 계단을 두어 4면의 모습이 모두 약간씩 다르다.
아래층의 기둥은 둥근 석주이며 의장효과를 위해 모서리에는 네모난 석주를 세웠다.
이익공계의 공포이면서도 쇠서와 세부기법에서는 다포계의 양식을 보인다.
임신영의 원본 글보기~~http://blog.daum.net/photo4782/13674966
광한루원은 천체 우주를 상징하여 조성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누원이다.
또한, 오작교는 해마다 칠월 칠석이면 견우와 직녀가 만난다는 안타까운 천상의 사랑을 춘향과 이몽룡을 통해 완성시킨 사랑의 다리다.
광한루원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이다.
광한루의 내부이며 원래 1419년 황희 정승이 남원으로 유배되어 왔을때"광통루"란 작운 누각을 지어 산수를 즐기던 곳이였다.
광한루원 내부에서 오작교와 방장정을 볼수 있는 곳이다.
오작교앞에서 노부부가 춘양과 이도령 복장을 작용하고 기념 사진 촬영하는 모습이 아름답기만 하다.
춘양 영정을 모시는 사당이다.
완월정이다.
지상의 사람들이 천상의 세계를 꿈꾸며 달나라를 즐기기 위해 지은것으로 달이뜨는 동쪽을 향해 있는 수중누각이다.
춘향제 행사의 주요 무대로 사용되고 있다.
남원의 특별 음식은 추어탕이다.
새집 추어탕은 1957년 창업이래 반세기 동안 토종 미꾸라지 음식 한 가지로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향토 음식점이다.
장시간 삶은 미꾸라지를 갈아서 시래기와 함께 된장을 풀어 끓이는 전라도식 전통 남원 추어탕이다.
새집 추어탕
새집 추어탕집으로 검색하면 다른곳이 나온다.
새집으로검색하시고 광한루원 옆에 있다.
063-625-2443
사방이 트인 마루를 아주 많이 높여 사방의 자연과 연못을 한눈에 보면서 쉴 수 있도록 만들어진 광한루원에서
선조들의 여유와 자연을 즐기고 달콤한 휴식이 있으며, 춘향전의 무대가 된 넓은 호수와 오작교를 거닐면,
이 뜨거운 여름, 마음만은 시원할것 이라 생각한다.
감사합니다.
사진가 임신영 010 9988 3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