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마추픽추라 불리는 부산의 벽화마을 "감천문화마을" 골묵을 가다
임신영작가가 부산광역시에서 한국의 마추픽추란 불리는 부산의 벽화마을인 감천문화마을 골목을 다녀왔습니다.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위치한 감천문화마을은 1950년대 태극도 신앙촌 신도와 6·25피난민의 집단거주지로 형성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부산의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곳입니다.
산자락을 따라 질서정연하게 늘어선 계단식 집단 주거형태와 모든 길이 통하는 미로미로 골목길의 경관은 감천만의 독특함을 보여줍니다.
감천의 이런 특색과 역사적 가치를 살리기 위해 지역 예술인들과 마을 주민들이 모여 시작한 『마을미술 프로젝트』는
감천문화마을 만들기 사업의 디딤돌이 되었습니다.
마을 주민과 예술가 그리고 관의 협조로 만들어진 감천문화마을은 아시아에서도 제일 아름다운 마을로 선정되였으며,
마을 전체가 각기 다른 색상들로 아름다운 작품들과 전시공간이 형성된 마을을 임신영작가가 카메라 딸랑메고 다녀왔습니다.
겨우 한사람이 지나갈 수 있는 길~
두사람이 동시에 올라가기엔 너무 좁은 골목길~~
그리고,감천문화마을은 6,25전쟁때 피난민들이 판자집을 짓고 살기 시작하여,
콘크리트를 이용한 증축으로 이렇게 붙어서 지울수 밖에 없었던 결과물로 현재의 마을이 탄생되였다 합니다.
부산 감천문화마을은 벽화와 예술작품이 가득한 마을로 입구부터 마을전체가 예술작품이 가득한 곳 입니다.
화살표도 아니고 물고기처럼 아기자기하게 예술적으로 그려넣어 만든 이 예술품이 마을을 구경하는데 도움을 주고있다.
단순히 화살표도 아니고 물고기 모양으로 그려서 예술을 더욱 더 살렸다 생각합니다.
부산 감천마을은 한국의 마추픽추라 불리는 이곳의 멋진 풍경입니다.
1층에서 살다 2층도 짓고 옆 공간도 늘리는 방식의 아주 작은 방들을 만들어,
작은 공간에서의 삶의 흔적을 걷다보면 느끼고, 점점 떠나는 주민들의 빈집들이 하나 하나 전시 공간으로 바뀌는 모습들과
전시중인 공간들까지 주민과 예술가, 그리고 관의 협조로 아름다운 예술 동네로 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보연볼수록 매력이 있는 이곳은 한국의 마추픽추하고 불루기도 하지만, 부산의 산토리나라고도 합니다.
산토리니는 그리스에 있는 섬으로 죽기전에 꼭 가봐야할 여행지로 알려진 곳~~
화살표로 표현한 나무가 다음으로 이동할 곳을 안내해 주는 센스~~
저는 이곳 부산 감천문화마을에서 과거와 현재의 중간 지점에서 멈춘 이곳을 둘러보면서,
지역주민도 살면서 외부의 예술가들까지 합류하여
하나의 작품이 전체의 마을로 확산되어가는 모습을 보면서 현대화 도시속에서 구 도심의 재생효과를 이곳에서 보았습니다.
간만에 부산관광한 우리 가족들과 이곳에서 좋은 시간 보냈으며 이 사진들은 기념 사진용 카메라로 촬영하였음을 말씀드립니다.
부산가시면 감천문화마을에서 아름답고 좋은 추억 담아가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