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주곰탕

[나주 여행] 백호 문학관 백호 임제선생을 찾아가다. 나주 이색 문학관 "백호문학관"을 가다" ▶전남 나주시 다도면에 위치한 백호문학관은 16세기 조성의 가장 탁월한 문장가 백호 임제(1549~1587)선생을 위한 백호문학관이 있다. ▶백호 임제는 지질이 호방하고 예속에 구속받지 않았으며, 혼한했던 시대를 비판하는 정신을 지녀 "풍류기남아"라 일컬어졌다 한다. ▶39세로 짧은 생을 마쳤으나 그는 고뇌의 삶과 빼어난 정신을 1천여 수의 시와 산문, 소설로 남겨 16세기 조선에서 가장 개성적이며 뛰어난 문장가로 평가를 받고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청초 우거긴 골에" "물곡사" "남명소승" "수성지"등이 있다. #나주여행 #나주볼거리 #나주데이트 #나주관광 #나주이색여행 #백호문학관 #나주곰탕 #백호문학관 글. 백호기념관 홍보물 인용 / 사진 ⓒ2020.Li.. 더보기
[나주 여행] 조선시대로의 시간여행 "나주목사아" ●나주로의 시간여행 "목사내아"에서 조선시대를 만나다.● ▶목사내아 / 금학헌 [전라남도 문화재 제132호]◀ 전라남도 나주시 금계동에 위치한 목사내아금학헌은선시대 나주목사가 기거하던 살림집으로 상류주택의 안채화 같은 모습을 갖추고 있다. 성안에 있던 관아건물 중에서 객사 금성관과 동헌의 출입문 정수루와 함께 원형의 모습을 간직한 유산이다. 내아가 처음 세워진 때는 알 수 없으나 안채 상량문에 1825년(순종 25) 7월 1일 주춧돌은 놓고 7월 20일 상량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문간채는 1892년(고종 29)에 건립된 것으로 보아 19세기에 지금의 모습을 갖춘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 때부터 군수 관사로 사용하면서 원형이 변형되었으나 최근에 모두 충실하게 복원하였다. 목사내아는 주변에 객사, 정수.. 더보기
[나주여행] 나주 역사가 있는 곳 "나주목문화관" "나주목문화관" 나주목문화관은 983년 나주목이 된 후부터 1895년까지 나주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전시관 전남 나주는 고려 성종 때부터 1895년 나주 관찰부가 설치될 때까지 1,0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나주목이 유지된 곳이다. 나주목문화관은 나주가 "천년고도 목사고을" 이었음을 알리기 위해 설립한 전시관으로 옛 금남동사무소를 개조하여 만들었으며 2006년 10월 19일 개관하였다. 문화관 내부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큰 고을에 두었던 지방행정단위였던 "목"에 대해 한눈에 알 수 있도록 각종 조형물과 사진,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한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어향나주 목이 되다". "나주목사 부임행차". "나주읍성 둘러보기". "관아 둘러보기". "다시 태아 나는 나주"등 8개의 주제관으로 구.. 더보기
[나 주 여행] 전남 나주로의 시간 여행. 금성관 시간이 멈춘 곳 나주에서 만난 "금성관"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나주 금성관은 조선 전기 나주목사 이유인이 망화루와 함께 건립한 객사이며, 2019년 10월 25일 대한민국 보물 제2037호로 지정되었다. 측면 4칸 정면 5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외국 사진이나 정부 고관의 행차가 있을 시 연회를 열었던 곳이다. ⓒ2020.Lim Shin-young all rights reserved ● ● ● "나주목 금성관" 전남 나주는 전라도를 대표하는 고을이었다. 영산강의 뱃길을 이용한 해상교류가 많아지면서 조선시대 나무목의 최고 관리인 나주목사는 지금의 도지사에 해당하는 관직으로 나주목사가 업무를 보던 동헌과 사신 및 관리들의 출장 시 연회나 묵었던 객사 용도로 사용되었다. #금성관 #나주금성관 #나주여행 .. 더보기